테스트 기획 수정
•
질문과 반응을 배치하고, 점수배분이 모호한 문항을 수정함
•
하루 일과에 따른 질문-반응 배치
•
도입 질문 추가
결과유형에 대해 고려할 점
•
가해자 / 피해자 / 방관자 / 조력자의 유형으로 나누고 관련된 서사로 테스트를 만들고자 했지만 가해자가 되거나 피해자가 되는 결과가 대상에게 부담이 될 수 있음
◦
하루 일과에 따른 질문-반응 배치
◦
도입 질문 추가 : 결과유형 대분류 변별 목적
•
점수별로 결과유형을 구분하지만, 되도록 긍정적인 방향의 이야기를 해줄 수 있도록 결과 유형을 만들자.
•
성별이 드러나지 않고 편견을 심어주지 않는 것으로 컨셉 잡기
•
보석 : 부족하다면 알아가면서 모두가 빛나는 보석이 될 수 있다는 의미.
•
결과유형 갯수 추가 : 4개에서 16개로 추가
◦
다양한 결과가 나와야 흥미를 끌고, 공유할 수 있을 것 같아 결과 유형을 늘림.(4단계X4종류 보석)
◦
보석별 타이틀을 구분하지만 단계별(A, B, C, D) 설명은 같음
◦
보석 구분에는 우열은 없음
◦
보석을 구분해주기 위해 디지털 성범죄와 관련없는 도입 질문 추가
결과유형
보석(다이아몬드, 사파이어, 에메랄드, 루비) 단계별 구분
D형 : <흙 속에 파묻혀 있는 상태>
C형 : <점점 깎이면서 빛을 발하는 단계>
B형 : <혼자서도 빛나는 단계>
A형 : <다른 보석들과 더 어우러지면서 빛이 나는 단계>
결과유형 계산방법
•
도입질문 점수 + 등급별 점수 → 결과
•
도입질문 점수 할당 : 보석유형 구분해주기 위한 점수
◦
다이아 100, 사파이어 200, 에메랄드 300, 루비 400
•
등급별 점수
◦
A형 : 33~36점, B형 : 27~32점, C형 : 18~26점 ,D형 : 9~17점
점수배정